개발문화 개선을 위한 협업툴-사내위키- 도입이 마무리되었다.

혹시나 사내위키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위키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도입배경부터 도입을 위한 의사결정과 설득 과정, 시행착오와 깨달은 점등을 정리하여 공유한다.

 

retrospective

 

도입배경

2021년 8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약 8개월정도 파견 프로젝트를 나갔었다.

본사에서만 일하다가 새로운 곳에 가면서 업무환경들도 변하고, 하는 일도 변하게 되었다.

파견 나간 곳은 본사보다 훨씬 많은 개발자들이 일하는 큰 조직이었으며 사람들도 자주 바뀌는 곳이이었다.

그러다보니 협업시스템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평범하게 말과 문서를 통하여 인수인계를 받아서 일을 하게 되었다.

문서 더미

 

새로 받은 업무도, 새롭게 사용하는 툴이나 프레임워크에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개발을 진행해야 되니

어딘가 있는 매뉴얼을 찾아야 하고, 해당 문서가 최신정보가 맞는지 하나하나 확인해야 했다.

그런데 후에 들어온 개발자들도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고 의문이 들었다.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으면 조직이나 회사도 생산성이 높아질 것 같은데
좀 더 효율적인 절차나 시스템이 없을까?

 

생각하는 사람

 

 

본사에서 개발자들이 더 올 예정이어서 내가 헤맸던 부분을 문서를 만들었는데, 

 

이 문서가 얼마나 사용될까?

사람들이 문서의 내용을 믿을 수 있을까?

 

지금 오는 분은 인수인계를 해드려도, 후에 또 누군가가 오게되면 문서가 있는지도 모를테고,

상황이 바뀌어서 업데이트가 안되면 정보의 신뢰성도 떨어질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위키 도입 시작

시간이 지나 SI프로젝트가 끝나고 본사에 복귀하였다.

개발자 한분이 퇴사하여서 인수인계서를 작성하는 일을 맡게되었다.

그때 다른 IT기업들이 위키를 이용한다는 것과, 실제로 도움을 받은 동기 개발자의 이야기가 생각나서

우리도 인수인계서가 아니라 위키를 도입하는게 어떻겠냐는 말씀을 드렸고, 좋게 생각해주셔서 사내 내부프로젝트로 위키도입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시장에서 사용되는 위키들을 조사하고,

장단점 비교하고,

내부 시스템중 일부분을 적용해 테스트해보고,

발표하고 피드백받고 다시 보완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는데,

기업과 조직에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것은 생각했던만큼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시작은 문제를 인식한 구성원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동의하여 진행하였지만, 조직 전체의 아이디어가 되니 부정적인 구성원들도 있어 설득을 해야 했고, 처음엔 장점만 보였지만 실제로 써보니 금액, 권한, 편의성 등 이슈가 되는 부분들도 많았다.

시장조사 이미지

 

 

설득과 의사결정

위키도입에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구성원들을 설득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부분이었다.

계속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고, 의사결정이 지연되고, 일이 일을 만드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도입프로젝트에 동의하였던 사람들도 점점 지쳐가는 것이 느껴졌고, 나 또한 다른 일들과 함께 자료조사와 발표를 하는 것에 지쳐갔다.

그러다보니 데이터를 정리하고 제시하여 의견을 토의하자는 수동적인 설득방법을 버리고

선택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하여 직접 의사결정을 한 뒤, 적극적으로 어필하는 방식으로 설득방법을 바꾸고 결론적으로 위키 도입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설득하는 사람

 

앞으로는

1주일이면 끝날 것 같던 위키도입 프로젝트가 3주 가까이 진행되었다.

 

작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시작한 일이었는데 예상했던 절차와 다르게 일이 진행되면서

설득과 커뮤니케이션, 협력과 조직의 의미 등 여러가지를 배울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을 설득하였던 경험에서 깨달은 점은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해선 구체적으로 이익이 되는 점을 어필하거나 비전을 제시해야 효과적이다. 

또한 수동적인 태도로 주어진 일만 하면서 사는 것보다는 적극적으로 나서서 일을 하고, 남들에게 도움이 되었을 때 더 삶이 충만하였다.

 

회고 글이 위키도입을 검토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

 

future, 지구본과 빛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