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에서 로그를 찾거나 이슈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가 grep이다.
grep 명령어가 무엇인지, 어떤 옵션을 사용하는지, 어떻게 주로 활용하는지 알아보자.
1.grep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
grep prints lines that contain a match for one or more patterns.
https://www.gnu.org/software/grep/manual/grep.html
GNU Grep 3.7
grep comes with a rich set of options: some from POSIX and some being GNU extensions. Long option names are always a GNU extension, even for options that are from POSIX specifications. Options that are specified by POSIX, under their short names, are expli
www.gnu.org
레퍼런스 문서에 의하면 grep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일치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라인'을 출력하는 명령이다.
기본적인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grep [option...] [patterns] [file...]
옵션과 파일 인수는 비어있어도 되지만, 패턴은 하나 이상이 존재해야 한다.
2. option
옵션은 정말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나하나 다 공부하기엔 시간이 부족하므로 다른분들이 자주 사용하시는 몇가지만 찾아보았다.
- -e 패턴을 사용한다는 옵션이다. grep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옵션인데, 보통 -ef로 붙여서 사용한다.
- -f 파일을 패턴으로 사용하는 옵션이다. 파일에 패턴을 저장해두고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
- --color 패턴을 색상으로 강조하는 옵션이다
가끔씩 확인하는 네트워크 포트 확인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위 네트워크 명령어에 grep을 | 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많이 보았는데, 파이프라는 기능이었다.
| 가 파이프 명령어이며 앞의 netstat -an 의 출력값을 뒤의 명령어의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기능인데 나중에 더 자세히 찾아봐야 겠다.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명령어 정리(1) (0) | 2022.07.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