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발상

스택과 큐 카테고리에 있는 문제인데, 실제 자료구조를 구현해서 쓰기에는 애매했다.

자료구조에 들어가 있는 값들을 모두 다뤄야 하는데, 스택과 큐 기본 자료구조는 양 끝점에 있는 데이터 외에는 다룰 수 없어서 개념적으로 구현하여 사용하였다.

의사코드

1. 초기값 세팅
2. 예상되는 배포일 반복(제한조건 100일){
	1. 개발 진척도 상승
    2. 1번아이템 개발완료 체크
    	1. 개발 실패시 다음 일로
        2. 개발 성공시 카운트 증가 및 다음아이템 개발완료 체크
]
3. 결과값 반환

 

코드

더보기
private int index = 0;
private int answerIndex = 0;

public int[] solution(int[] progresses, int[] speeds) {
    ArrayList<Integer> answerList = new ArrayList<>();
    int cnt;
    //전체순회
    for (int j = 0; j < 100; j++) {
        if (index >= progresses.length) break;
        // 1번에 개발완료된 수
        cnt = 0;
        // 1회 개발 진행, 진척도 상승
        for (int i = 0; i < progresses.length; i++) {
            progresses[i] += speeds[i];
        }
        // 젤 처음 개발완료 체크
        if (progresses[index] < 100) continue;
        // 개발 성공
        index++;

        cnt++;
        cnt += isMoreDeveloped(progresses, index);
        answerList.add(cnt);
        answerIndex++;
    }

    return answerList.stream().mapToInt(a -> a).toArray();
}

private int isMoreDeveloped(int[] progresses, int innerIndex) {
    if (innerIndex >= progresses.length) return 0;
    if (progresses[innerIndex] >= 100) {
        innerIndex++;
        this.index++;
        return 1 + isMoreDeveloped(progresses, innerIndex);
    }
    return 0;
}

개선

아직 스트림 사용법이 미숙하고 선언해둔 변수가 코드를 작성하다보니 쓰이지 않는 등 의사코드 작성 능력이 부족한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