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748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https://blog.kakaocdn.net/dn/Uubfc/btrHuSFJlV0/9ktgm0KXTpHYiIQWfUHZK1/img.png)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입니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1
순위당첨 내용1 |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
2 | 5개 번호가 일치 |
3 | 4개 번호가 일치 |
4 | 3개 번호가 일치 |
5 | 2개 번호가 일치 |
6(낙첨) | 그 외 |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습니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고 순위 번호 | 31 | 0→10 | 44 | 1 | 0→6 | 25 | 4개 번호 일치, 3등 |
최저 순위 번호 | 31 | 0→11 | 44 | 1 | 0→7 | 25 | 2개 번호 일치, 5등 |
-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입니다.
-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입니다.
-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습니다.
-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발상
요약하면 0으로 나눈 번호들을 모두 맞다고 가정한 순위와 모두 틀렸다고 가정한 순위를 구하여 반환하는 문제이다.
두 배열을 비교하여 일치한 번호를 세야 하고 0인 번호들을 세서 순위를 구해야 한다.
의사코드
1. 0인 번호 구하기
2. 일치하지 않는 번호 구하기
3. 순위를 만들어 반환
개선
스트림을 이용하여 나름대로 filter 안에 다시 다른 배열을 스트림으로 받아 비교하여서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였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결국 순위를 구하는 로직이 후에 추가적으로 작성되어야 했고, 순위의 예외처리도 필요하여 코드가 복잡해졌었다.
다른사람의 풀이를 보니, 결과값을 만들 새로운 스트림을 기존의 배열이 아닌 초기선언 방식으로 선언해두고, 그 위치에 스트림을 이용하여 순위값을 만들어 넣었다.
그뒤 체이닝을 통해 순위로직을 처리하여 return 함수 한줄에 코드가 모두 정리되는 것을 확인했다.
스트림이 알고리즘과 코딩테스트에선 성능이슈가 큰 부분이 확실히 존재하지만, 익숙해진다면 빠르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문제를 풀어야 하는 코딩테스트 상황에서 다른 문제에 더 시간을 집중하고, 나중에 다 푼 뒤에 최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코딩테스트만을 위한 최적화가 아닌 실제 업무에서는 읽기 좋은 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가 더 선호되기 때문에 성능이슈에도 불구하고 스트림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충분히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IT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기능 개발 (0) | 2022.07.27 |
---|---|
[programmers] 신고 결과 받기 (0) | 2022.07.26 |
[programmers] [1차] 비밀지도 (0) | 2022.07.17 |
[Algorithm] RSA 암호 (0) | 2022.07.17 |
[programmers] 시저암호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