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3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횟수에 제한은 없습니다. 서로 다른 유저를 계속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고 횟수는 1회로 처리됩니다.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설명
"muzi" "frodo" "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frodo" "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frodo" "neo" "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muzi" "neo" "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muzi" "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신고당한 횟수
"muzi" 1
"frodo" 2
"apeach" 0
"neo" 2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정지된 ID
"muzi" ["frodo", "neo"] ["frodo", "neo"]
"frodo" ["neo"] ["neo"]
"apeach" ["muzi", "frodo"] ["frodo"]
"neo" 없음 없음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id_list의 길이 ≤ 1,000
    • 1 ≤ id_list의 원소 길이 ≤ 10
    •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3 ≤ report의 원소 길이 ≤ 21
    • report의 원소는 "이용자id 신고한id"형태의 문자열입니다.
    • 예를 들어 "muzi frodo"의 경우 "muzi"가 "frodo"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
    •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스페이스)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1 ≤ k ≤ 200, k는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은 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
  • 2 ≤ id_list의 길이 ≤ 1,000
    • 1 ≤ id_list의 원소 길이 ≤ 10
    •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3 ≤ report의 원소 길이 ≤ 21
    • report의 원소는 "이용자id 신고한id"형태의 문자열입니다.
    • 예를 들어 "muzi frodo"의 경우 "muzi"가 "frodo"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
    •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스페이스)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1 ≤ k ≤ 200, k는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은 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

 

발상

신고 결과를 취합하고 -> 결과를 집계해서 정지여부를 판단하고 -> 신고한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문제이다.

1차 자료를 가공하고 가공된 자료를 활용하여 다시 2차 결과물을 만드는데, 약간 복잡했다.

1차원의 ID 리스트를 상관계수 표처럼 2차원을 확장하고, 확장한 y축을 신고결과를 누적하게 한 뒤, 취합하면 나중에 전체순회를 여러번 하지 않고 편하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2차원 배열로 구현하였다.

의사코드

1. 초기값 선언(2차원 배열)
2. 신고 결과 배열 마킹{
	1. 신고자 배열위치 확인(스트림 인덱스)
    2. 피신고자 배열위치 확인
    3. 보드에 마킹(0일 때만 1)
}
3. 신고 결과 취합 및 정지여부 판단
4. 정지대상과 신고자 체크 후 결과값 반환

 

코드

더보기
public int[] solution(String[] id_list, String[] report, int k) {

    /*
     * 처리결과 횟수를 배열로 받음
     * nxn 배열로 확대하고, 주어진 배열 그대로의 인덱스를 사용함
     * 신고한 결과를 나중에 스트림으로 필터링하고 리턴하면 됨
     * */
    int[] reportResult = new int[id_list.length];
    int[][] reportBoard = new int[id_list.length][id_list.length];
    for (String s : report) {
        String[] reportTicket = s.split(" ");
        int reporter = IntStream.range(0, id_list.length)
                .filter(f -> reportTicket[1].equals(id_list[f]))
                .findFirst()
                .orElse(-1);
        int reportee = IntStream.range(0, id_list.length)
                .filter(f -> reportTicket[0].equals(id_list[f]))
                .findFirst()
                .orElse(-1);
        reportBoard[reporter][reportee]=1;
    }
    for (int i = 0; i < id_list.length; i++) {
        for (int j = 0; j < id_list.length; j++) {
            reportResult[i] += (reportBoard[i][j] >= 1) ? 1 : 0;
        }
    }
    for (int[] ints : reportBoard) {
        for (int anInt : ints) {
            System.out.print(anInt + ", ");
        }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
    int[] answer = new int[id_list.length];
    for (int i = 0; i < reportBoard.length; i++) {
        if(Arrays.stream(reportBoard[i]).sum()>=k){
            for (int j = 0; j < reportBoard.length; j++) {
                answer[j] += reportBoard[i][j] >= 1 ? 1 : 0;
            }
        }
    }

    return answer;
}

 

개선

여러 과정을 거쳐서 자료를 가공해야 하고, 방법도 굉장히 많은 방법이 있어 보여서 고민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하지만 가장 빠른 방법은 바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고, 너무 많은 시간을 고민에 쓰지말고 어느정도 전략이 세워지면 구현을 해야 한다.

진행하다 보면 문제점이나 개선점이 보이게 되니 일단 구현해보는 것이 좋은 것 같다.

'IT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전화번호 목록  (0) 2022.08.18
[programmers] 기능 개발  (0) 2022.07.27
[programmers]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0) 2022.07.17
[programmers] [1차] 비밀지도  (0) 2022.07.17
[Algorithm] RSA 암호  (0) 2022.07.17

+ Recent posts